2025.03.07 (금)

  • 구름많음동두천 9.8℃
  • 구름많음강릉 9.0℃
  • 흐림서울 10.4℃
  • 구름많음대전 11.3℃
  • 구름많음대구 10.6℃
  • 구름많음울산 8.5℃
  • 구름많음광주 11.7℃
  • 구름많음부산 9.9℃
  • 구름많음고창 10.9℃
  • 구름조금제주 12.3℃
  • 구름많음강화 7.4℃
  • 구름많음보은 8.8℃
  • 구름많음금산 11.0℃
  • 구름많음강진군 11.3℃
  • 구름많음경주시 9.5℃
  • 구름많음거제 10.4℃
기상청 제공

종합

비취업 기혼여성 2명 중 1명은 '경단녀’

  • 등록 2023.11.21 16:21:25

[영등포신문=변윤수 기자] 비취업 기혼여성 2명 중 1명꼴로, 개인적 사유로 일을 그만둔 뒤 재취업하지 못한 '경력 단절 여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경단녀' 10명 중 4명은 자녀 육아 때문에 일을 그만뒀다.

 

통계청이 21일 발표한 '2023년 상반기 지역별고용조사-기혼 여성의 고용현황' 자료에 따르면 15∼54세 기혼여성 794만3천 명 중 비취업 여성은 283만7천 명이었다.

 

이 가운데 직장(일)을 다니다 그만둔 경력 단절 여성은 134만9천명이었다. 작년 동기와 비교하면 4만8천 명 감소했다.

 

 

통계청은 해당 연령대 여성 인구가 줄어들면서 기혼 여성과 경력 단절 여성 인구도 함께 줄어드는 추세라고 분석했다.

 

15∼54세 기혼여성 대비 경력 단절 여성 비율은 1년 전(17.2%)보다 0.2%포인트 하락한 17.0%로 집계됐다.

 

경력 단절 사유로는 '육아'를 꼽은 사람이 56만7천 명(42.0%)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결혼 35만3천 명(26.2%), 임신·출산 31만명(23.0%), 자녀교육 6만 명(4.4%) 순이었다.

 

경력 단절 여성을 연령별로 살펴보면 40대가 59만명으로 가장 많았고, 30대가 54만4천명으로 뒤를 이었다.

 

전체 경력 단절 여성 중 3040 여성이 차지한 비중이 84.1%에 달한 것이다.

 

 

전체 기혼여성 대비 경력 단절 여성 비율이 가장 높은 연령대는 30대(26.3%)였다.

 

경력 단절 기간 별로는 10년 이상이 40.0%로 가장 많았다. 5∼10년 미만은 24.1%, 3∼5년 미만은 13.2%였다.

 

육아나 출산 등 이유로 일을 그만둔 여성 10명 중 4명은 10년 넘게 재취업하지 못했다는 의미다.

 

18세 미만 자녀와 함께 사는 15∼54세 기혼여성 중 경력 단절 여성 비율은 24.9%로 나타났다. 자녀가 많을수록, 자녀가 어릴수록 경력 단절 여성의 비율은 높았다.

 

자녀 수별 경력 단절 여성 비율은 3명 이상 29.4%, 2명 26.0%, 1명 23.1% 순이었다.

 

자녀 연령별로는 6세 이하 35.9%, 7∼12세 21.9%, 13∼17세 11.9%로 집계됐다.

 

15∼54세 기혼여성 중 취업자는 510만7천 명이었다. 이 중 18세 미만 자녀와 함께 사는 '워킹맘'은 260만9천 명이었다.

 

18세 미만 자녀와 함께 사는 기혼 여성의 고용률은 60.0%로 작년보다 2.2%포인트 상승했다. 2016년 통계 작성 이래 최고치다.

 

자녀 수별 고용률은 1명 61.2%, 2명 59.3%, 3명 이상 56.6%였다. 연령 계층별로는 50∼54세가 67.3%로 고용률이 가장 높았다.

 

주당 평균 취업 시간은 35.7시간으로 작년보다 0.1시간 늘었다.

오세훈 서울시장, AI 전문가들과 ‘글로벌 AI 혁신 선도도시 서울’ 발전 전략 논의

[영등포신문=이천용 기자] 오세훈 서울시장은 6일, 서울시청 시장집무실에서 AI 전문가들과 만나 미래 AI 산업 육성전략과 인재 양성 방안 등을 논의했다. 이날 면담에는 김기응 국가AI연구거점 센터장, 최재붕 성균관대 교수, 장병탁 서울대 교수, 정송 카이스트 AI대학원장, 하정우 네이버 클라우드 센터장, 지기성 구글클라우드 코리아 사장, 김유철 LG AI연구원 전략부문장, 박찬진 서울AI허브 센터장이 참석했다. 현재 서울시는 양재 일대의 ‘서울AI허브’ 등으로 첨단 AI 생태계를 조성하고, 기업의 성장을 저해하는 과감한 규제철폐와 전폭적인 AI 스타트업 창업 및 기술혁신 지원 등을 통해 ‘글로벌 AI 혁신 선도도시 서울’로의 도약을 준비하고 있다. 오세훈 시장도 최근 대한민국의 AI 3대 강국 진입을 위해 ‘청년취업사관학교’, ‘대학협력사업(라이즈・RISE)’ 사업 등과 연계, 매년 AI 인재 1만 명을 양성해 서울을 명실상부한 AI인재 허브로 만들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 자리에 참석한 전문가들은 AI산업 육성을 위해선 GPU 등 하드웨어적인 인프라 확보만큼이나 AI인재를 양성하고 확보하기 위한 전략이 매우 중요하다며, 교육, 취업, 핵심 인재 대우 등

김재진 시의원, 실내공기질 미래 대응 방안 토론회 성황리에 개최

[영등포신문=나재희 기자] 서울시의회 김재진 의원(국민의힘, 영등포1, 환경수자원위원회)은 지난 6일, ‘서울시 실내공기질 개선을 위한 미래 대응 방안 토론회’를 개최해 성황리에 진행했다. 김재진 시의원 주관으로 개최된 이 토론회는 최호정 의장과 오세훈 서울시장의 축사로 시작해 이성배 국민의힘 대표의원, 임만균 환경수자원위원회 위원장이 축하인사를 전했으며, 실내공기질에 관심이 많은 서울시의원들이 참석해 자리를 빛냈다. 이번 토론회는 기후변화, 유해물질 오염, 미세먼지로 인해 실외공기질이 위협받고 있는 상황에서 실내 체류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취약계층 시설 및 다중이용시설의 공기질 개선을 위해 마련됐으며, 서울시 실내공기질 관리 현황 및 신기술 도입 등 폭넓은 대응 방안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토론회의 발제는 서울시 생활환경과 이귀용 과장이 서울시의 실내공기질 관리와 개선사업에 대하여 설명했으며,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실내환경관리센터 이윤규 센터장이 실내공기질 개선을 위한 신기술 등 미래 대응 방안에 대해 발표했다. 이귀용 과장은 건강취약계층 이용시설, 대규모 조리실, 지하역사 등 다양한 시설에 대한 실내공기질 개선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어린이집, 노인요양시설




가장많이 본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