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31 (일)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문화

한국을 대표하는 국보 ‘반가사유상’ 사진 NFT, 세계 무대에 선보여

  • 등록 2024.05.10 10:40:45

 

[영등포신문=이천용 기자] 해외 시장을 대상으로 아트 NFT 프로젝트를 진행해 온 웨이브아이의 '오렌지해어(OrangeHare)' 프로젝트는 준초이(Joon Choi) 사진작가의 대표작 '반가사유상' 사진 NFT를 오는 5월 15일 오픈씨(Opensea) NFT 플랫폼을 통해 발매한다. 

 

오렌지해어는 세계 시장에 K-아트를 넘어 우리 문화재의 가치를 알리는 것을 목표로 이번 NFT 컬렉션을 기획했다. 이를 위해 한국의 대표적인 문화재인 '국보 제83호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을 촬영한 준초이 작가의 대표작을 NFT화해 세계 최대 NFT 플랫폼인 오픈씨에 'Smile of Serenity: Korean National Treasure No. 83(평온의 미소: 한국 국보 제83호)' 컬렉션으로 선보인다. 

 

오픈씨 플랫폼 역시 이 작품의 가치를 인정, 자체 홍보 채널을 총동원해 이번 컬렉션을 알릴 예정이다. 오픈씨 홈페이지 드롭스 메인, 이메일 뉴스레터, 그리고 수백만 팔로워를 보유한 공식 X(엑스, 옛 트위터), 인스타그램을 통해 이번 컬렉션을 소개한다. 이를 통해 국내외 수백만 NFT 컬렉터들에게 우리 문화재인 '반가사유상' 작품을 알리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국보 제83호 금동미록보살반가사유상은 해외에서도 가장 사랑받는 우리 문화재 중의 하나로, 지난 2013년 뉴욕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의 '신라: 한국의 황금 왕국' 특별전 당시 뉴욕타임스 등 해외 언론의 극찬을 받았다. 준초이 작가의 '반가사유상'은 어렵게 국립중앙박물관의 촬영 허가를 얻어 2006년 출간된 도록 '백제'를 통해 처음 선보였으며, 이를 계기로 큰 주목을 받게 됐다. 이후 부산시립미술관, 일본 후쿠오카 국립박물관 등에서의 전시를 통해 국내외에 소개됐다. 특히 이번에 NFT로 제작된 '평온의 미소(Smile of Serenity)' 작품은 준초이 작가의 '반가사유상' 작품 가운데 그 깊이와 미학을 가장 잘 담아낸 걸작이자 대표작으로 꼽힌다. 

 

 

'반가사유상' NFT 컬렉션은 오는 5월 14일 두손갤러리에서 개최되는 준초이 작가의 '반가사유상' 작품을 조명하는 개인전 '필연적 만남, Serendipity'과 동시 발매되며, 국내외 다양한 세대를 아우르기 위한 공동 프로젝트로 기획됐다. 

 

이번 컬렉션을 기획한 오렌지해어의 최동열 대표는 '준초이 작가의 '반가사유상' 작품을 보는 순간 꼭 NFT로 발매하고 싶다는 생각을 했다. 우리 문화재의 아름다움을 너무나 잘 드러낸 작품으로, NFT를 통해 국내외 젊은 세대에게 그 가치를 알리는 동시에 문화재를 소유할 수도 있도록 하고 싶었다. NFT는 다수의 에디션으로 발매가 가능해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으로 고가의 작품을 구매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이번 컬렉션의 가치를 해외 최대 NFT 플랫폼인 오픈씨에서도 인정하고 홍보에 적극 협조를 하고 있는 등 해외에 우리 문화재의 가치를 알려 K-아트의 지평을 넓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9월 1일부터 예보 한도 1억으로 상향

[영등포신문=나재희 기자] 내일부터 예금자보호한도 상향을 앞두고 아직은 수신 잔액에 큰 변동이 없지만 예금 만기가 몰린 연말이 다가오면서 자금 유치를 위한 금리 경쟁이 과열될 가능성에 금융권이 촉각을 세우고 있다. 31일 금융권에 따르면 9월 1일부터 금융회사나 상호금융조합·금고 파산 등으로 예금 지급이 어려워질 경우 예금자는 1억원까지 원금과 이자를 보호받는다. 예·적금 등 원금보장형 상품은 가입 시점과 관계 없이 모두 적용된다. 예금과 별도로 보호 한도를 적용하고 있는 퇴직연금과 연금저축, 사고보험금 역시 1억원까지 보호된다. 각 금융기관당 5천만원이었던 예금 보호 한도가 올라가는 건 2001년 이후 24년 만이다. 금융회사별로 5천만원씩 분산 예치해두던 예금자들의 편의성이 높아지고 시장이 불안할 때 안전망이 두꺼워지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예금자보호한도가 높아지면 시중은행보다 금리가 높은 2금융권으로 자금이 대거 움직일 수 있다는 우려도 나왔다. 다만, 금융당국이 예보한도 상향을 예고한 이후 2금융권 수신 잔액과 변동 추이를 실시간 모니터링한 결과에 따르면 우려했던 자금 쏠림은 아직 나타나지 않았다. 7월 말 기준 저축은행의 수신 잔액은 100조




가장많이 본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