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9 (수)

  • 맑음동두천 1.2℃
  • 맑음강릉 5.8℃
  • 맑음서울 3.3℃
  • 맑음대전 5.6℃
  • 맑음대구 5.8℃
  • 맑음울산 6.0℃
  • 흐림광주 5.7℃
  • 맑음부산 7.5℃
  • 흐림고창 4.9℃
  • 구름많음제주 12.0℃
  • 맑음강화 2.1℃
  • 맑음보은 3.0℃
  • 맑음금산 5.4℃
  • 흐림강진군 6.3℃
  • 맑음경주시 6.5℃
  • 맑음거제 7.1℃
기상청 제공

행정

서울시, 지방세 1천만 원 이상 상습 체납자 1,577명 공개

  • 등록 2025.11.19 11:08:01

[영등포신문=신민수 기자] 서울시는 19일, 지방세 체납액이 1천만 원 이상인 고액·상습 체납자 1,577명의 인적 사항 등을 서울시 누리집(www.seoul.go.kr에서 ‘명단공개’ 검색)에 새로 공개했다.

 

공개 대상자는 올해 1월 1일 기준으로 서울시를 비롯해 자치구, 전국에 지방세 체납액이 1천만 원 이상이며 체납 발생일로부터 1년이 지난 고액·상습 체납자이다. 공개 항목은 체납자의 성명·상호(법인명), 나이, 직업, 주소, 체납액의 세목·납부기한과 체납 요지이다. 체납자가 법인인 경우에는 법인의 대표자를 함께 공개하고 있다.

 

시는 지방세심의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고액·상습 체납자 명단 공개 대상자를 확정했다. 명단 공개에 앞서 지난 4월에는 신규 공개 예정자 1,823명에게 사전통지문을 발송했으며, 10월 말까지 6개월간 소명 기회를 제공하고 납부를 독려해 체납 세금 39억 원을 징수했다. 예고기간에 체납 세금을 납부하거나 이의신청·소송 등 불복 청구 중인 경우 등 246명은 공개 대상에서 제외했다.

 

올해 신규 명단 공개자 1,577명의 체납액은 1,232억 원으로, 이 중 개인 1,078명(체납액 736억 원), 법인 499개 업체(체납액 496억 원)이다.

 

 

최고액 체납자는 부동산임대업을 운영한 자이언트스트롱㈜(대표자 와타나베 요이치)로, 법인지방소득세 등 51억 원을 체납했다. 개인 최고액 체납자는 ㈜에프엑스시티플래티넘(정보통신업)을 운영한 이경석(35세)으로, 개인지방소득세(종합소득) 47억 원을 체납했다.

 

신규 명단 공개자의 금액별 체납액 분포를 보면 1천만 원 이상~3천만 원 미만 체납자가 861명(54.6%)으로 가장 많았으며, 1억 원 이상은 201명(15.2%)이었다.

 

한편, 서울시는 고액·상습 체납자에 대해 명단 공개에만 그치지 않고 출국금지, 신용정보 자료 제공 등 행정제재와 동시에 재산 압류·공매, 가택수색 등 강력한 체납처분을 시행하고 있다.

 

또한 명단 공개된 고액·상습 체납자는 관세청에 체납처분을 위탁해 일반 수입품은 물론 인터넷 직구 물품과 해외여행 중 구매한 입국 휴대품에 대해 통관 보류와 매각 처분을 통해 적극적으로 체납액을 징수할 예정이다.

 

이상훈 서울시 재무국장은 “명단 공개는 납세의무를 이행하지 않는 체납자에게 경각심을 일깨워주고 조세 정의를 실현하기 위한 것으로, 성실 납세자와 형평을 맞추기 위해 체납 세금을 끝까지 추적해 반드시 징수할 것”이라고 말했다.

영등포제2스포츠센터, ‘플라스틱 방앗간’ 업사이클링 사업 참여

[영등포신문=이천용 기자] 영등포구시설관리공단(이사장 김형성) 제2스포츠센터가 서울환경연합이 운영하는 ‘플라스틱 방앗간’ 업사이클링 캠페인에 참여하여, 회원과 직원이 함께하는 소형 플라스틱(병뚜껑 등) 수거·자원순환 활동을 추진한다고 11월 17일 밝혔다. ‘플라스틱 방앗간’은 재활용이 어려운 플라스틱 뚜껑류 등을 수거해 새로운 생활용품으로 재탄생시키는 서울시 환경 캠페인으로, 센터는 공공체육시설의 친환경 거점 역할을 강화하고 주민 참여형 ESG 활동을 확대하기 위해 이번 사업을 도입했다. 센터는 1층 로비 및 안내데스크에 플라스틱 뚜껑 전용 수거함을 설치하고 포스터·디지털 게시판 등을 활용하여 주민 참여를 독려하고 있다. 수거된 플라스틱은 ‘플라스틱 방앗간’ 작업장으로 전달되어 치약짜개 등 업사이클링 제품으로 다시 제작된 뒤 센터 이용객에게 배포될 예정이다. 이번 캠페인을 통해 소형 플라스틱의 자원순환 촉진, 폐기물 감축, 주민 환경인식 제고, ESG 실천 강화 등 다양한 효과가 기대된다. 김형성 이사장은 “이번 캠페인은 작은 실천이 모여 큰 변화를 만든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며 “앞으로도 지역주민과 함께하는 친환경 활동을 꾸준히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




가장많이 본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