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31 (목)

  • 흐림동두천 29.6℃
  • 흐림강릉 30.5℃
  • 흐림서울 31.3℃
  • 흐림대전 28.6℃
  • 구름조금대구 31.0℃
  • 구름많음울산 30.6℃
  • 맑음광주 30.8℃
  • 맑음부산 31.7℃
  • 구름조금고창 31.3℃
  • 구름조금제주 31.3℃
  • 흐림강화 28.7℃
  • 흐림보은 27.1℃
  • 구름많음금산 29.3℃
  • 구름조금강진군 31.2℃
  • 맑음경주시 31.3℃
  • 맑음거제 29.2℃
기상청 제공

종합

서울시, 7월 정기분 재산세 1조 3,525억원 납부고지

  • 등록 2016.07.15 10:03:43

[영등포신문=육재윤 기자] 서울시는 시내 소재 주택과 건축물 등의 소유자에 대하여 올해 제1기분 재산세 1조 3,525억원에 대한 세금고지서 395만건을 우편 발송했다.

재산세는 과세기준일(매년 6월 1일) 현재 주택, 토지, 비주거용 건축물 등의 소유자에게 7월과 9월에 부과된다.

7월에는 주택에 대한 재산세의 1/2과 건축물 및 선박․항공기에 대한 재산세가 과세되며, 9월에는 나머지 주택분 1/2과 토지분 재산세가 과세된다.

이번 7월 정기분(제1기분) 재산세는 1조 3,525억원으로 작년(1조 2,875억 원)보다 650억원(5.1%)이 증가했다. 납부기한은 8월 1일(월)까지이며 납부기한을 넘기면 3%의 가산금을 더 내야 한다.

 

금년에 서울시민이 부담할 1년분 재산세 총액은 총 3조 7,774억원으로 전년(3조 6,105억원) 대비 1,669억원(4.6%)이 증가했다.

과세물건별로는 주택이 1조5,994억원, 건축물이 5,263억원, 토지가 1조 6,453억원, 항공기 및 선박 64억원 등이다.

과세물건별 재산세 증감현황을 살펴보면 주택이 5.5%(786억원) 증가, 토지가 5.1%(758억원) 증가, 건축물이 5.3%(260억원) 증가했다.

올해 1년분 재산세가 4.6%(1,669억원) 증가한 것은 공동주택 및 개별주택, 토지, 건축물에 대한 부동산 공시가격이 전반적으로 작년에 비해 증가했기 때문이다.

아파트와 연립주택에 대한 공동주택가격이 6.2% 증가, 단독 및 다가구주택에 대한 개별주택가격이 4.5% 증가, 토지의 개별공시지가가 4.1% 증가, 건축물의 건물신축가격기준액이 1.5% 증가 등 부동산 공시가격이 전반적으로 작년에 비해 증가한 것이 그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항공기는 226대 64억1천만원으로 35.4% 증가, 한 대당 평균 부담세액은 2천8백만원이며, 선박은 1,027척 7천만원으로 16.7% 증가하였는데, 이는 대형항공사와 저가항공사의 신규항공기 도입과 선박의 등록대수 증가가 그 증가원인으로 풀이된다.

자치구별 7월분 재산세 부과현황을 보면, 강남구가 2,025억원으로 가장 많고, 서초구 1,377억원, 송파구 1,178억원 순이며, 가장 적은 구는 강북구 183억원이며, 도봉구 213억원, 중랑구 239억원 순이다.

지난해에 비해 자치구별 7월분 재산세 부과액은 강서구 9.1%↑ (49억원), 성동구 7.9%↑(28억원), 용산구 7.5%↑(36억원) 순으로 증가 하였는데, 이는 마곡지구 등 택지개발 사업 진행과 금호동 등 대규모 재개발사업지구의 입주가 그 요인으로 분석된다.

아울러, 서대문구 0.9%↑(29억원), 구로구 2.3%↑(10억원), 금천구 2.4%↑ (7억원)는 상대적으로 증가 폭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는 자치구간 재정균형을 위해 금년에 징수되는 재산세 중 9,931억원을 공동재산세로 하여 25개 자치구에 397억원씩 균등하게 배분할 예정이다.

공동재산세는 재산세 중 50%를 특별시분 재산세로 징수한 후 25개 자치구에 균등하게 배분하는 제도로, 강남·북 자치구간 재정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2008년에 최초로 도입되었으며,

올해 재산세(도시지역분, 지역자원시설세, 지방교육세를 제외한) 1조 9,862억원의 50%인 9,437억원을 특별시분 재산세로 시에서 징수한 후 25개 자치구에 동일한 금액으로 균등 배분하게 된다.

올해 7월에 재산세가 가장 많이 부과된 건축물은 23억원이 부과된 롯데물산 소유 재산이며, 그 뒤로 삼성전자, 현대아이파크몰 순이다.

서울시는 외국인이 고지된 지방세에 대한 궁금증을 해소할 수 있도록 언어권에 따라 영어, 일어, 중국어, 프랑스어 등 4개국 언어로 번역된 안내문을 납부고지서와 동봉 발송하였으며, 시각장애인(1~4급)에 대해서는 점자 안내문 서비스를 시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서울시는 납세자가 손쉽게 세금을 납부할 수 있도록 인터넷 ETAX, 전용 계좌이체, 스마트폰, ARS 납부 등 다양한 납세편의 시책을 운영하고 있다.

재산세 납부는 인터넷을 통해 ETAX시스템(http://etax.seoul.go.kr) 또는 거래하는 은행 인터넷뱅킹에 접속하거나 시중은행을 방문하여 CD/ATM기기와 무인공과금수납기를 이용하여 납부할 수 있으며, 가까운 편의점 계산대에서도 납부 할 수 있다.

스마트폰 이용자라면 서울시 세금납부 전용 앱(S-TAX)을 활용하면 보다 손쉽게 납부가 가능하고

인터넷이 낯선 고령 납세자라도 1599-3900번으로 전화하여 ARS 세금자동납부서비스를 이용하여 편리하게 재산세를 납부할 수가 있다.

한편, 서울시는 2015년 12월 카카오페이 등 간편결제 서비스를 관공서 최초로 시행한 바 있으며, NHN엔터테인먼트㈜의 PAYCO 간편결제 서비스를 통해서도 지방세, 세외수입, 상하수도요금 납부가 가능하다고 밝혔다.

PAYCO로 세금납부하는 방법은 PAYCO앱을 다운받아 회원가입하고 소지하고 있는 신용카드를 등록한 후, ‘서울시 ETAX’ 또는 ‘서울시 스마트폰 앱(STAX)’에서 PAYCO 간편결제를 선택하여 납부하면 된다.

김윤규 서울시 세무과장은 “시민들이 바쁜 일상으로 인해 자칫 납부기한을 놓쳐 3%의 가산금을 부담 할 수 있으니 미리 납부여부를 꼼꼼히 챙겨 줄 것을 당부드린다”고 말했다.

아울러, “국내IT발전과 시민 납세편의 제공차원에서 국내 우수 핀테크 기술을 적극 개발 보급하고 있으니 많은 시민이 간편한 서비스를 이용하고 혜택 받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서울시립영등포장애인복지관, 서울시교육청교육연수원과 함께하는 ‘Clean Day’ 성료

[영등포신문=변윤수 기자] 서울시립영등포장애인복지관(관장 최종환)은 지난 7월 30일 수요일 복지관 관내의 환경개선을 지원하는 ‘Clean Day’를 성공적으로 마쳤다. 이번 행사는 서울시교육청교육연수원 자원봉사자 27명이 함께 동참해 쾌적한 복지관 환경 조성에 힘을 보탰다. 자원봉사자들은 1층 스마트발달트레이닝센터의 청소를 시작으로 음악치료실 청소와 함께 최근에 공사를 진행한 지하 1층에 대한 대청소를 진행했다. 오래된 먼지와 쓰레기를 말끔히 제거하고, 비품을 재배치하며 이용자들의 안전과 편의를 높였다. 봉사활동에 참여한 한 연수원 자원봉사자는 “처음엔 단순히 청소라고만 생각했지만, 장애인 분들이 더 깨끗한 환경에서 생활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어 큰 보람을 느꼈다”고 소감을 전했다. 자원봉사자들은 활동 후 뿌듯한 성취감을 나누며, 앞으로도 정기적인 환경개선 봉사에 동참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특별히 서울시교육청교육연수원은 작년부터 복지관과 함께 연을 이어오고 있으며, 방학을 활용하여 환경 개선 자원봉사를 지속적으로 실천하고 있다. 최종환 관장은 “Clean Day를 통해 복지관을 이용하는 분들이 보다 쾌적한 공간에서 일상을 누릴 수 있게 되었다”며 “서울시




가장많이 본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