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8 (토)

  • 흐림동두천 15.0℃
  • 흐림강릉 11.9℃
  • 흐림서울 17.0℃
  • 흐림대전 18.3℃
  • 흐림대구 17.9℃
  • 구름많음울산 18.4℃
  • 흐림광주 18.9℃
  • 흐림부산 18.6℃
  • 흐림고창 19.3℃
  • 제주 17.9℃
  • 흐림강화 15.5℃
  • 흐림보은 16.6℃
  • 흐림금산 18.2℃
  • 흐림강진군 18.2℃
  • 흐림경주시 18.0℃
  • 흐림거제 18.5℃
기상청 제공

종합

30대 10명 중 4명은 미혼… 3040 '캥거루족' 65만명

  • 등록 2021.09.27 16:20:42

[영등포신문=신예은 기자] 지난해 우리나라 성인 가운데 314만명은 부모의 경제적 도움을 받아 생활했으며, 이 가운데 65만명은 한창 일할 나이인 30~40대로 나타났다. 또, 30대 미혼 인구 비중은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고, 성인의 사회활동 참여율은 역대 최저치로 떨어진 것으로 집계됐다.

 

통계청이 27일 발표한 '2020 인구주택총조사 - 인구·가구 기본 항목'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1일 기준 우리나라 20세 이상 인구 가운데 1,783만3천명(42.9%)은 본인의 일이나 직업으로 생활비 원천을 마련했다.

 

그 뒤를 이어 배우자의 일·직업으로 생활한 사람이 419만9천명(10.1%), 부모의 도움을 받아 생활한 '캥거루족'이 313만9천명(7.5%), 금융자산으로 생활한 사람이 196만명(4.7%), 국가·지자체 보조로 생활한 사람이 150만9천명(3.6%), 부동산 등 실물자산으로 생활비를 마련한 사람이 62만9천명(1.5%) 순으로 집계됐다.

 

성별로 보면 남성은 본인의 일로 생활비를 마련한 사람의 비중이 54.4%, 여성은 남성보다 22.5%포인트 낮은 31.9%로 나타났다.

 

 

여성은 배우자의 일·직업 비중(18.0%)이 남성(1.8%)보다 16.2%포인트 높았다.

 

연령별로 보면 20대의 경우 부모의 도움을 받아 생활한 사람의 비중이 38.9%로 전체 연령대 가운데 가장 높았다.

 

30대는 56.5%가 직접 일해 생활비를 마련했으나, 7.0%는 여전히 부모의 도움을 받아 생활한 것으로 나타났다.

 

40대 중 2.2%는 부모의 도움으로 생활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30~40대 중 부모의 도움을 받아 생활한 사람은 65만명에 달했다.

 

 

부모의 도움으로 생활하는 성인 캥거루족(313만9천명) 5명 중 1명(20.7%)은 3040세대인 것이다.

 

60세 이상의 경우 공적연금 11.2%, 국가·지자체 보조 11.1%, 자녀의 도움 10.7%으로 집계됐다. 생활비를 마련한 사람의 비중이 높았다.

 

60세 이상 고령자 중 생활비를 스스로 마련한 사람의 비중은 지난 2015년 직전 조사보다 8%포인트 상승한 57.7%로 집계됐다.

 

그리고 공적연금 11.2%, 국가·지자체 보조 11.1%, 자녀의 도움 10.7%으로 집계됐다.

 

15세 이상 인구의 혼인 상태를 보면 기혼자가 2,457만5천명(55.9%)으로 가장 많았으며, 미혼이 1,368만8천명(31.1%), 사별 314만8천명(7.2%), 이혼 254만5천명(5.8%) 순으로 나타났다.

 

30세 이상 인구 중 미혼 인구 비중은 14.7%로, 2015년(13.2%)보다 1.5%포인트 증가했다.

 

2030 청년층은 물론 40·50대 중장년층, 60세 이상 고령층 등 모든 연령대에서 미혼 인구 비중이 증가했다.

 

30대의 경우 미혼 인구 비중이 지난 1990년 6.8%에서 2000년 13.4%, 2010년 29.2%, 2020년 42.5% 등으로 계속 증가해 통계 작성 이래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우리나라 30대 인구 10명 중 4명은 미혼자로, 특히 30대 남성의 미혼자 비중은 절반 이상인 50.8%로 나타났다.

 

교육 정도별로는 30세 이상 남성의 경우 2·3년제 대학 졸업자의 미혼 인구 비중(27.3%)이 가장 높았으나, 여성은 대학원 졸업자의 미혼율(22.1%)이 가장 높았다.'

 

20세 이상 성인이 사회·경제·정치·종교·친목 활동 등 사회활동에 참여한 비율은 29.8%로 집계됐다. 이는 2010년 33.7%에서 2015년 31.1%, 2020년 29.8%로 지속해서 감소하며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특히 1인 가구의 경우 사회활동 참여율은 전체 참여율보다 낮은 26.4%에 그쳤다.

 

대학원 졸업자의 경우 참여율이 46.8%, 4년제 이상 대학교 졸업자는 35.4%에 달해 사회활동 참여율은 교육 수준이 올라갈수록 높아졌다.

 

성별로는 남성의 사회활동 참여율은 31.7%, 여성은 27.8%로 집계됐다.

 

30세 이상 인구 중 대학 이상 졸업자는 1,506만명(43.1%)으로 가장 많았고, 그 뒤를 이어 고등학교 졸업(36.1%), 중학교 졸업(9.1%), 초등학교 졸업(8.2%) 순으로 나타났다.

 

대학 이상 졸업 인구의 비중은 지난 2010년 32.4%보다 10.7%포인트 증가한 43.1%로 집계됐다.

 

여성 대졸 이상 인구 비중 44.8%로 여전히 남성 55.2%보다 낮았다.

 

15세 이상 인구 가운데 활동에 제약이 있는 인구는 298만9천명, 돌봄이 필요한 인구는 135만1천명으로 집계됐다.

 

이들 가운데 돌볼 사람이 아예 없는 경우도 13만2천명(9.8%) 있었다.

영등포청소년문화의집, ‘신비한 나라의 영청문’으로 미래세대에 꿈 선사

[영등포신문=신민수 기자] 영등포구(구청장 최호권)는 지난 11월 1일, 구립영등포청소년문화의집(관장 원혜경)에서 청소년과 가족이 함께 과학과 기술을 쉽고 재미있게 체험할 수 있는 축제 ‘신비한 나라의 영청문’을 개최했다. 이번 축제는 1,000명이 넘는 청소년과 지역주민이 참여하며 큰 호응을 얻었으며, 청소년들이 인공지능(AI), 로봇, 융합과학 등을 체험하는 ‘과학 마법사의 대모험’, 음악과 미디어를 주제로 한 ‘음악 마법사의 대모험’, 그리고 청소년 셀러들이 참여한 플리마켓 ‘신비한 비밀의 상점’ 등으로 구성됐다. 이번 ‘신비한 나라의 영청문’ 축제는 오후 1시부터 7시까지 다채로운 체험 프로그램과 이벤트로 진행되었다. ‘과학 마법사의 대모험’에서는 색이 변하는 매직포션, 나비비행연구소 등 놀이처럼 즐길 수 있는 융합과학 체험부스가 운영되었으며, ‘음악 마법사의 대모험’에서는 AI로 만드는 1분 K-POP, 이야기가 깃든 음악상자 등 음악미디어 체험 프로그램이 마련되었다. 또한 ‘신비한 비밀의 상점’에서는 청소년 셀러들이 직접 운영하는 11개의 부스와 함께 캐리커쳐, 페이스페인팅 등 전 세대가 함께 즐길 수 있게 진행되어 축제의 분위기를 한층 더 풍성하




가장많이 본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