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4.24 (월)

  • 구름많음동두천 18.6℃
  • 흐림강릉 16.3℃
  • 구름많음서울 18.8℃
  • 흐림대전 16.4℃
  • 흐림대구 14.7℃
  • 흐림울산 14.3℃
  • 흐림광주 16.1℃
  • 흐림부산 15.3℃
  • 흐림고창 15.8℃
  • 제주 14.2℃
  • 흐림강화 17.5℃
  • 구름많음보은 14.4℃
  • 흐림금산 16.2℃
  • 흐림강진군 15.2℃
  • 흐림경주시 14.8℃
  • 흐림거제 15.6℃
기상청 제공

정치

김민석 의원, “2028년 국회 이전, 담대한 비전과 추진력으로 지금부터 대비해야”

여의도 비전 12차 연속토론회 개최
1차 토론 ‘세계적 대학? 국제기구? K-컨텐츠센터? : 국회 부지, 어떻게 할 것인가?' 주제

  • 등록 2023.03.09 10:02:31

 

[영등포신문=나재희 기자] 김민석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 영등포을)이 지난 8일 오전 10시 포스트타워(구 여의도우체국) 대회의실에서 ‘세계적 대학? 국제기구? K-컨텐츠센터? : 국회 부지 어떻게 할 것인가’ 토론회를 개최했다.

 

발표에 나선 김 의원은 먼저 국회 이전의 현재 상황에 대해 “국회 세종의사당은 빠르면 2028년에 준공되고, 헌법에 위배될 수 있는 의장실과 본회의장을 제외하고 매우 많은 상임위원회와 지원기구들이 국회 세종의사당으로 이전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2028년 국회 이전 이후의 구상에 대해서 김민석 의원은 세 가지 가능성을 제시했다.

 

첫째는 세계적 대학 또는 대학원이다. 김 의원은 싱가포르국립대학과 예일대학교와의 협력 사례를 예로 들면서, “우리나라의 명문대 의대들이 협력하여 세계 최고의 의대인 존스홉킨스의대와 협력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여의도에 오지 못할 이유가 없다”고 구체적인 사례를 들었다.

 

 

둘째는 국제기구다. 이미 지난 서울시장 선거에서도 거론된 유엔의 아시아본부 뿐만 아니라 주요 국제기구를 우리나라 주도로 만들 수 있는 가능성도 제기됐다. 셋째는 K-컨텐츠센터였다. 김 의원은 “컨텐츠산업은 대한민국이 가장 잘할 수 있는 분야이며, 서울이 가장 잘할 수 있는 분야이기도 하다”라며 “여의도가 중심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민석 의원의 발표가 있은 이후에는 참석한 60여 명의 주민들의 질의 응답이 이어졌다. 이날 행사에 참석한 채현일 전 영등포구청장은 “70년대에 만들어진 여의도는 미래도시였는데, 이제 50년만에 급속하게 변화하고 있다”며 “재건축이 가속화되면서 여의도가 변화하는 이 때에 이런 담대한 비전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연극배우이며 여의도 주민인 서울연극협회 영등포지부 권경하 지부장은 “영등포와 여의도에 문화를 누릴 수 있는 여건이 보다 개선돼야 한다”며 앞으로 이어질 토론회에 기대감을 드러냈다.

 

김민석 국회의원은 “여의도의 비전은 주민들의 참여로부터 시작돼야 한다. 오늘부터 12회에 걸쳐서 국제학교, 반려견, 고도제한완화 등 다양한 주제에 대해서 주민들과 밀착된 공간에서 함께 얘기할 것”이라고 앞으로 이어질 토론회에 대한 성원을 부탁했다.

 

한편, 이날 행사를 개최한 여의비전위원회(위원장 김민석 국회의원)는 지난 2월 6일 창립세미나를 개최했던 국회세종여의포럼(대표 김민석‧홍성국 국회의원)의 소위원회로 현재 분과별 조직을 구성하고 있다. 여의비전위원회는 오는 3월 29일 국제학교에 대한 제2차 토론회를 개최한다.

 

서울시,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위촉식 개최

[영등포신문=변윤수 기자] 서울시는 24일 오전 9시 50분, 서울시청 본관 6층 영상회의실에서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위촉식을 개최했다. 서울시는 작년 9월 탄소중립 사회 이행과 녹색성장 추진을 위한 주요 정책 및 계획과 그 시행에 관한 사항을 심의・의결하는 기구인 ‘서울시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를 출범시켰다. 이날 위촉식에는 오세훈 시장이 참석해 ‘온실가스 감축’, ‘기후위기 적응’과 관련된 각 분야별 전문가 15명을 추가로 신규 위촉하는 등 위원회 전문성 강화를 위해 확대 개편했다. 개편방안에 따라 서울시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에서는 기존 탄소중립 정책 심의・의결에 더해 탄소중립 관련 조례・행정계획 검토 등 자문하는 기능이 추가되고 2개 분과위원회(온실가스 감축, 기후위기 적응)가 신설됐다. 또한 1명의 민간위원장이 새롭게 임명돼, 행정1부시장과 함께 시・민간공동위원장 시스템으로 개편됐다. 아울러 온실가스 배출 등 기후위기의 심각성을 고려해 위원수를 기존 25명에서 40명으로 늘렸다. 오세훈 시장은 신규위원들에게 위촉장을 수여한 후 새롭게 확대 개편된 서울시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가 서울시의 기후변화 대응 체계의 주축이 돼 2050 탄소중립 이행과 기후위




가장많이 본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