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2 (토)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종합

50년 뒤 인구 3,600만 명대 추락

  • 등록 2023.12.14 15:50:47

[영등포신문=변윤수 기자] 통계청은 14일, 앞으로 50년간 우리나라의 총인구가 1,550만 명가량 급감하면서 3,600만 명대에 머물 것이라고 전망했다.

 

현재 0.7명 선에서 1.0명 선으로 출산율이 반등할 것이라는 비교적 긍정적인 가정에서 계산한 추정치다.

 

출산율이 현재와 엇비슷한 0.7~0.8명 선에 머무는 시나리오에서는 2천만 명 이상 줄면서 3천만 명 선을 지키기도 빠듯해질 것으로 관측됐다.

 

현재 총인구의 70%를 웃도는 생산연령(15~64세)은 50년 이후에는 절반 밑으로 추락하게 된다. 0~14세 유소년 인구는 6% 선으로 쪼그라들고,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50%에 육박하면서 극단적인 초고령 사회에 진입하게 된다.

 

 

인구피라미드는 현재의 '항아리형'에서 '역삼각형' 구조로 변화하게 된다.

 

'국가 소멸'까지 거론할 정도로 해외에서도 주목하는 우리나라의 가파른 저출산·고령화 추세가 고스란히 반영된 전망치로 보인다.

 

통계청은 이런 내용을 담은 '장래인구추계: 2022~2072년'을 발표했다.

 

2년 주기로 작성되는 인구추계는 2022년 인구총조사(등록센서스) 결과와 최근까지 인구변동요인(출생·사망·국제이동) 추이를 반영해 미래 인구변동요인을 가정하고, 향후 50년간 인구를 전망한 결과다.

 

총인구는 출생자에서 사망자를 뺀 국내 자연 증감분에 유학과 해외 근로 등 국내 거주 외국인의 동향이 합산된 개념이다.

 

 

총인구는 이미 2020년 5,184만 명으로 정점을 찍으면서 사망자 수가 출생아 수를 넘어서는 데드크로스(Dead Cross)에 진입했다.

 

자연증가(출생아-사망자) 개념으로는 지난해 -11만명에서 2040년 –27만 명으로 인구감소가 가팔라지다가, 2072년에는 53만 명으로 인구감소폭이 커지게 된다.

 

인구성장률 기준으로는 2025~2035년 연평균 -0.16% 증감률을 유지하다, 감소세가 빨라지면서 2072년에는 -1.13%에 달한다는 것이다.

 

그 결과, 올해 5,167만 명으로 줄어든 총인구는 2072년에는 3,622만 명으로 50년간 1,545만 명 감소하게 된다.

 

총인구는 2041년 5천만 명선이 붕괴하면서 4천만 명대로 떨어졌다가, 2060년대에는 3천만 명대로 각각 쪼그라들게 된다.

 

이는 중간값에 해당하는 중위 추계 기준이다. 중위 추계에서는 합계출산율이 현재의 0.70명대에서 단기적으로 0.60명대로 떨어졌다가 반등하면서 2036년부터는 1.00명을 웃돌 것으로 봤다.

 

낙관적 시나리오(고위 추계)에서는 4,282만 명, 비관적 시나리오(저위 추계)에서는 3천17만 명으로 줄게 된다.

 

고위 추계에서는 출산율이 현재의 갑절에 달하는 1.34명까지 뛰어오를 것으로, 저위 추계에서는 출산율이 0.70~0.80명 부근을 맴돌 것으로 각각 가정했다.

 

통계청은 별도의 100년 추계치도 함께 제시했다.

 

중위추계 기준으로 총인구는 2122년 1,930만 명으로 2천만명을 밑돌 것으로 봤다. 고위 추계에서는 3천만 명을 간신히 지키고, 저위 추계에서는 1천80만 명대로 추락하게 된다.

 

가파른 인구감소와 더불어 고령화도 급속하게 진행된다.

 

연령별 비중을 보면, 15~64세의 생산연령인구는 2022년 71.1%(3,674만 명)에서 2072년 45.8%(1,658만 명)로 줄어들게 된다.

 

생산연령 인구수가 현재의 절반에도 못 미친다는 예측인 셈이다.

 

기간별로는 2020년대에는 연평균 32만 명씩 감소하다가, 2030년대에는 50만 명대로 감소폭이 커지게 된다.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같은 기간 898만 명(17.4%)에서 1,727만 명(47.7%)으로 불어나게 된다.

 

0~14세 유소년 인구는 2072년 238만 명(6.6%)으로, 2022년 595만 명(11.5%)의 40% 수준에 그치게 된다.

 

고령인구가 생산연령인구를 웃도는 것은 물론이거니와 유소년 인구의 7.3배에 달하게 된다는 뜻이다.

 

인구피라미드 형태는 현재 30~50대가 최대 비중을 차지하는 항아리형에서, 60세 이상부터 점차 두터워지는 역삼각형 구조로 변하게 된다.

 

1960년의 뚜렷한 삼각형 구조와 비교하면 1세기 만에 정반대로 뒤집어진다는 뜻이다.

고용노동부 서울남부지청, 임금체불 예방 위한 현장점검 실시

[영등포신문=이천용 기자] 고용노동부 서울남부지청(지청장 송민선)은 지난 6월 16일부터 27일까지 2주간 ‘현장 예방점검의 날’을 운영하며, 노무관리가 취약한 중소규모 사업장과 건설업체를 대상으로 노동법 위반 여부에 대한 현장 점검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이번 점검은 강서구, 양천구, 영등포구에 소재한 30인 미만 사업장 113개소를 대상으로 진행했으며, 근로감독관이 직접 사업장을 방문해 임금 체불, 근로계약서 작성 여부 등을 중점적으로 점검했는데, 44개 사업장에서 총 64건의 임금 및 퇴직금 체불 사례가 적발됐고, 12억 7,400만 원에 달하는 체불액을 근로자에게 지급하도록 시정지시했다. 특히 근로감독관들은 사업장에 실효성있는 노무관리 방법에 대하여 지도하면서 경영난을 겪고 있는 업체들에는 사업주 융자제도를 안내하며 체불 임금을 청산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독려했다. 이번 점검 결과는 여전히 많은 사업장들이 노동법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고 노무관리에도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개정된 법 내용에 대한 지식 부족, 수당 계산 방식에 대한 미숙한 이해, 경영상의 어려움 등이 체불의 주요 원인으로 파악됐다. 실제로 점검을 받은 A사 대표는 “회계연도




가장많이 본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