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31 (일)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문화

Jenny Lee 작가, ‘오렌지해어 아트페어' 작품 전시

  • 등록 2024.07.17 09:34:50

 

[영등포신문=신민수 기자] Jenny Lee 작가가 7월 17일부터 8월 15일까지 서울시 종로구 소재 관훈갤러리에서 열리는 ‘오렌지해어 아트 페어(OrangeHare Art Fair)’에 참여한다.

 

오렌지해어(Orangehare)는 글로벌 파인아트 NFT 세계의 확장을 목표로 지난 1년 반동안 한국을 포함 총 12개국 60여 컬렉션을 글로벌 NFT 플랫폼 오픈씨(Opensea)를 통해 선보였다.

 

이번 관훈갤러리에서 진행하는 ‘오렌지해어 아트 페어’는 오렌지해어 NFT 프로젝트에 참여한 국내외 29명의 아티스트를 한자리에 모아 그들의 다양한 실물 작품을 소개한다. 그래피디, 영상, 조각, 피규어, 고전 페인팅 등 장르와 형식, 지역을 넘어 다채로운 작품 160여 점을 만나볼 수 있다.

 

이번 전시회에 선보이는 Jenny Lee 작가의 작품은 총 5점으로, 관훈갤러리 3층에서 만나볼 수 있다.

 

 

 

Jenny Lee 작가는 한국에서 태어나 미국 피츠버그주 Carnegie Mellon University에서 순수미술과 심리학을 복수전공했다. 유학 중 색의 상징과 의미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특히 노란색을 보았을 때 무한가능성을 표현하는 색으로 성공한 미래로 이끌어주는 원동력이 있다고 생각했으며, 집중과 지식을 나타낸 색으로써 작업할 때 중요하게 생각하는 표현방식 중 하나인 ‘몰입과 집중’ 때문에 한 가지색인 모노톤을 주제로 작업하기 시작했다. 마치 무지개의 일곱빛깔이 각각도 예쁘지만, 조화를 이룰때 더 아름다운것처럼 말이다.

 

바쁜 대학교 시절, 그림을 보았을 때의 활력과 포근함을 표현하며, 세상 사람들의 마음에 따뜻함과 기쁨을 선사하고자 작업했다.

 

Jenny 작가는 Facebook, Google, Tesla에서 인턴을 거쳐 현재 미국 Microsoft 본사에서 감성적인 디자인과 이성적인 기술의 만남을 다루는 UX designer로 근무하고 있으며, 디지털아트페어 전시회, 서울아트페어 등에 참여한 바 있다.

 

[수상]

 

2018-2021 Dean`s List

2019 Forbes & Fifth Cover Art Award

2019 Spires Intercollegiate Arts & Literary Art Award

2017 Korea Chungsoo Cultural Fine Arts Grand Exhibition Excellence Award

2014-2017 Scholastic Art & Writing Gold Key Award

 

 

 

9월 1일부터 예보 한도 1억으로 상향

[영등포신문=나재희 기자] 내일부터 예금자보호한도 상향을 앞두고 아직은 수신 잔액에 큰 변동이 없지만 예금 만기가 몰린 연말이 다가오면서 자금 유치를 위한 금리 경쟁이 과열될 가능성에 금융권이 촉각을 세우고 있다. 31일 금융권에 따르면 9월 1일부터 금융회사나 상호금융조합·금고 파산 등으로 예금 지급이 어려워질 경우 예금자는 1억원까지 원금과 이자를 보호받는다. 예·적금 등 원금보장형 상품은 가입 시점과 관계 없이 모두 적용된다. 예금과 별도로 보호 한도를 적용하고 있는 퇴직연금과 연금저축, 사고보험금 역시 1억원까지 보호된다. 각 금융기관당 5천만원이었던 예금 보호 한도가 올라가는 건 2001년 이후 24년 만이다. 금융회사별로 5천만원씩 분산 예치해두던 예금자들의 편의성이 높아지고 시장이 불안할 때 안전망이 두꺼워지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예금자보호한도가 높아지면 시중은행보다 금리가 높은 2금융권으로 자금이 대거 움직일 수 있다는 우려도 나왔다. 다만, 금융당국이 예보한도 상향을 예고한 이후 2금융권 수신 잔액과 변동 추이를 실시간 모니터링한 결과에 따르면 우려했던 자금 쏠림은 아직 나타나지 않았다. 7월 말 기준 저축은행의 수신 잔액은 100조




가장많이 본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