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8 (목)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행정

작년말 주민등록인구 5,164만명

  • 등록 2022.08.23 16:05:58

[영등포신문=신예은 기자] 주민등록인구가 지난해 말 기준 약 5천164만명으로 2년 연속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행정안전부가 23일 발표한 ‘2022 행정안전통계연보’에 따르면 전국 주민등록인구는 전년(5,182만9,023명)보다 0.37%(19만214명) 감소한 5,163만8,809명으로 집계됐다.

 

17개 시도 가운데 인천, 세종, 제주를 제외한 14곳에서 인구가 줄었다.

 

주민등록인구는 2019년 5,184만9,861명까지 늘었다가 2020년 5,182만9,023명으로 2만838명(0.04%) 줄어 사상 첫 인구 감소를 기록했다.

 

 

감소세는 지난해에도 이어졌는데 감소 폭은 전년보다 훨씬 커졌다. 지난해 장기 거주불명자에 대한 사실조사가 최초로 시행돼 거주불명자 14만3천여명이 직권말소 조치된 것도 자연적 요인에 더해 큰 영향을 미쳤다.

 

지난해 말 주민등록인구의 평균연령은 전년 43.2세보다 0.5세 높은 43.7세이며, 남성은 42.6세, 여성은 남성보다 2.2세 높은 44.8세이다.

 

가장 인구가 많은 연령은 50세(1971년생, 93만 5,176명)였다.

 

주민등록 세대는 2,347만2,895세대로 전년 2,309만3,108세대에 비해 1.6%(37만9,787세대) 증가했다. 주민등록 세대는 최근 10년간 꾸준히 증가했다.

 

1인세대가 946만1,695세대(40.3%)로 사상 처음 40%를 돌파했다. 1인세대 다음으로는 2인세대 23.9%(561만3,943세대), 4인세대 이상 18.7%(439만8,613세대), 3인세대 17.0%(399만8,644세대) 순이었다.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 1인세대를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70대 이상이 18.6%(175만9,790세대)로 가장 많고 60대 17.8%(168만5,226세대), 50대 17.1%(162만825세대) 순이었다.

 

올해 행정안전통계연보에는 정부조직, 행정관리, 디지털정부. 지방행정, 지방재정, 안전정책, 재난관리, 기타 등 8개 분야 329개 통계가 수록됐다. 연령별 1인세대 등 신규통계 11개도 포함됐다.

 

지난해 3월 개통한 국민비서 서비스는 교통·건강·교육 등의 생활정보를 편리하게 제공하는 개인 맞춤형 행정정보 알림 서비스로, 이번 통계연보에 처음 수록됐다.

 

국민비서 알림서비스 이용량은 4억219만7,993건이었는데 코로나19 백신접종정보 안내 서비스가 92.1%로 대부분이었으며 코로나 상생 국민지원금 안내 4.2%, 일반 건강검진일 안내 1.6% 순이었다.

 

도로명도 신규통계에 포함됐다.

 

전국의 도로명은 16만6,924건이며, 시·도별로 보면 경기 15.9%, 경북 10.2%, 경남 10.1% 순이다.

 

이름은 '길'이 90.0%로 가장 많고 '로'가 9.8%, '대로'는 0.2%다.

 

둘 이상의 시·도에 걸쳐 있는 도로의 이름은 행안부에서 부여한다.

 

2022년 지방자치단체 예산은 전년 263조1천억원보다 9.6%(25조2천억원) 증가한 288조3천억원이다.

 

예산 비중은 사회복지 30.5%(88조1천억원), 인력운영비 12.0%(34조7천억원), 환경 9.5%(27조5천억원) 순으로 높았다.

 

안전신문고 신고 건수는 494만870건으로 전년(188만9천200건)에 비해 161.5% 증가했다.

 

이 가운데 불법주정차 신고가 57.6%(284만6,712건)로 전년(109만1,366건)보다 160.8% 늘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통계연보는 행안부 누리집(www.mois.go.kr) '정책자료→통계→통계연보·주제별 통계'에서 전자파일로 제공된다.




가장많이 본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