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등포지역 정당·시민사회단체들로 구성된 ‘친환경무상급식과 안전한 먹거리 영등포연대’(공동대표: 정호진 外)는 3월 14일 영등포구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선유중학교 식중독 사태와 관련해 서울시교육청의 책임론을 제기했다.
이들은 “식중독 사고 발생 빈도수가 낮은 새 학기에 집단 급식 사고가 발생했다는 점에서 학생, 학부모 그리고 많은 영등포구민은 우려와 충격을 감출 수 없다”며 “이번 사고와 관련하여 서울시교육청이 책임을 져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서울시교육청은 ‘2014학년도 학교급식 기본방향’ 발표를 통해 친환경 급식재료 의무사용 비율을 하향 축소하였다”며 “또한 ‘서울시친환경유통센터’를 통해 급식재료를 공급했던 공적 시스템방식에서 급식업체의 저가 경쟁입찰 방식으로 식재료 조달 방식을 변경했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이는 과거 위탁급식 때처럼 급식업체들이 이윤을 남기기 위해 저가의 저질 식재료 사용으로 아이들의 건강권을 위협할 수 있다며 각계에서 반대와 우려를 표했던 방식”이라며 “그런데 새학기 2주 만에 이런 우려가 현실이 됐으니 이는 예견된 인재”라고 질타했다.
특히 “서울시교육청은 급식모니터링단 연수에서 ‘농약이 과학이다’라며 ‘친환경농산물보다 농약 사용 농산물이 더 안전하고 저렴하다’고 강조하는 등 허무맹랑한 궤변으로 친환경급식의 축소와 아이들의 건강권을 위협하고 있다”며 “서울시교육의 수장인 교육감이 친환경급식은 축소하고 농약급식을 권장하며 아이들의 건강권보다는 급식업체의 이익권을 앞세우며 시대와 국민적 요구를 역행하고 있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들은 “서울시교육청은 다시는 이러한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원인을 명명백백히 밝히고 모든 책임을 다해야 한다”며 “또한 기존의 저가 경쟁 입찰방식의 식재료 조달 지침을 당장 철회하고 공공조달 체계를 통해 식재료 안전성을 확보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와함께 “역학조사 결과를 투명하게 공개하고, 식중독 방지와 친환경 무상급식 추진을 위한 공개 토론회를 개최하라”고 촉구했다. /김남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