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3 (토)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종합

'딥시크 돌풍' 밑거름은…"美제재와 中정부 전폭 지원"

  • 등록 2025.01.30 11:54:18

 

[영등포신문=나재희 기자] 비용과 성능 혁신으로 미국 실리콘밸리를 놀라게 한 중국의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딥시크(DeepSeek, 深度求索) 성공 배경을 영국 BBC방송이 29일(현지시간) 자세하게 분석해 눈길을 끈다.

미국의 중국에 대한 반도체 수출 통제라는 도전이 중국에는 오히려 기회가 됐고, 중국 정부의 든든한 지원 역시 큰 역할을 했다고 BBC는 짚었다.

미국은 약 2년 전부터 엔비디아 등 세계 유수 반도체 제조업체가 중국에 첨단 반도체를 판매하는 것을 금지해왔다.

딥시크 창립자 량원펑(梁文鋒·40)은 중국 매체와 인터뷰에서 반도체 수출 통제를 "가장 큰 도전"이라고 말했다.

 

매사추세츠공대(MIT)의 정보기술매체 테크놀로지 리뷰에 따르면 딥시크는 수출 금지 조치가 내려지기 전 엔비디아 AI칩 A100을 상당량 비축했다. 비축량은 1만∼5만개로 추산된다.

서방의 선진 AI 모델들은 특수칩을 약 1만6천개 사용하는 것으로 추산되는 데 비해 딥시크는 특수칩 2천개와 수천 개의 하위 칩만으로 AI 모델을 훈련했다고 밝혔다.

마리나 장 시드니공과대학 부교수는 "미국 수출 통제는 딥시크 같은 중국 AI 기업들이 혁신하도록 만들었고, 중국 기업들은 더 적은 수의 반도체로 더 많은 것을 할 수 있게 됐다"고 분석했다.

중국 정부의 강력한 지원 또한 '딥시크 쇼크'의 밑바탕이 됐다.

중국을 기술 강국으로 만들겠다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야망 아래 중국 정부는 전기차 배터리와 태양광부터 AI까지 기술 분야에 막대한 투자를 해왔다.

 

중국 정부는 또한 최근 몇 년간 장학금과 연구 보조금을 제공하고 산학 협력을 장려하는 등 AI 인재 육성에 심혈을 기울여왔다.

장 부교수는 "딥러닝(Deep learning·컴퓨터가 스스로 외부 데이터를 조합·분석해 학습하는 기술)을 위한 국가공정실험실과 다른 국가 지원 프로그램이 AI 전문가 수천 명을 양성하는 데 도움이 됐다"고 평가했다.

딥시크의 경우도 연구개발(R&D) 인력은 139명에 불과한데, 대부분 중국 명문 대학 출신인 중국 국내파들이다.

특히 창립자 량원펑도 명문 저장대 출신이다.

그는 현재 중국 소셜미디어에서 또다른 AI 스타트업 문샷을 세운 칭화대 출신 양즈린,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교수로 있는 허카이밍과 함께 '중국 3대 AI 영웅'으로 칭송받고 있다.

딥시크가 최신 모델인 R1을 공개한 시점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취임일인 20일과 맞아떨어지는 것이 다분히 의도된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미국 싱크탱크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의 AI 전문가 그레고리 C 앨런은 "타이밍과 메시지를 전달하는 방식은 중국 정부가 수출 통제는 효과가 없고 미국이 AI 분야에서 글로벌 리더가 아니라고 생각하게 하려는 것"이라고 말했다.

대한교통장애인사랑나눔협회·사랑의열매, ‘2025 함께하는 나눔 복지 활동’

[영등포신문=장남선 시민기자] 지난 4월 22일, 영등포구 소재 대한교통장애인사랑나눔협회 사무실에서 진행된 ‘2025 함께하는 나눔 복지 활동’이 저소득 장애인을 대상으로 실질적인 생계 지원과 정서적 지지를 제공하며 지역사회에 따뜻한 반향을 일으켰다. 이번 사업은 대한교통장애인사랑나눔협회(회장 이계설)가 주관하고, 사회복지공동모금회(사랑의열매)의 후원으로 추진됐다. 사랑의열매는 복지 사각지대에 놓인 장애인 가정이 실질적인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재원을 마련하고 사업을 적극적으로 뒷받침했다. 이날 복지 활동은 관내 장애인들이 협회 사무실에 직접 방문해 생필품과 식료품을 수령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특히 오랜 시간 외부와 단절된 생활을 해오던 장애인들이 지역 사회 공간으로 나와 타인과 교류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함으로써, 외부 활동에 대한 심리적 장벽을 낮추는 데도 큰 의미가 있었다. 대상자 대부분은 고정 수입이 없거나 고령의 장애인들로, 일상생활의 안정성 확보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이번 지원을 통해 이들은 경제적 부담을 완화하고 삶의 질을 개선하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었다. 대림동에 거주하는 윤모 씨(여, 74)는 “지체장애로 외출이 어렵고 생필품 구입




가장많이 본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