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2 (금)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기본분류

조양호 영면

숙환에 조양호 한진그룹 회장 70세 나이로 별세

  • 등록 2019.04.08 12:32:46
[영등포신문=박민철 기자] 조양호 한진그룹 회장이 '숙환'을 이기지 못해 향년 70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고 알려졌다. 

대한항공에 따르면 조양호 회장은 현지시간으로 8일 새벽 0시 16분 미국 로스앤젤레스(LA)에서 '숙환'이었던 폐질환으로 별세했다. 

숙환은 '오랫동안 자리에 누워 앓던 병'으로 오래 묵은 병이나 걱정거리를 말한다. 

조양호 회장의 '숙환'이 어떤 병명이었는지는 정확하게 알려지지 않았다. 

조양호 회장은 숙환 치료를 위해 지난해 12월부터 미국의 한 병원에서 입원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숙환에 스러진 조양호 회장은 한국 항공업계의 가장 큰 별이었다. 

조양호 회장은 1949년 3월 8일 인천에서 조중훈 한진그룹 창업주의 장남으로 태어난 뒤 경복고와 1975년 인하대 공업경영학과 학사를 거쳐 1979년 미국 남가주대 경영대학원에서 석사과정을 밟았다. 

조양호 회장은 1973년 이재철 전 교통부 차관의 장녀 이명희 씨와 결혼한 뒤 슬하에 1남 2녀를 뒀다. 장녀는 조현아 전 대한항공 부사장이며 장남은 조원태 대한항공 사장, 차녀는 조현민 전 진에어 부사장이다.

그는 1974년 대한항공에 입사했다. 1980년 대한항공 상무에 오른 뒤 본격적으로 경영수업을 받았다. 

그 뒤 1992년 대한항공 사장, 1996년 한진그룹 부회장, 1999년 대한항공 회장, 2003년 한진그룹 회장으로 일했다.

 

조 회장은 45년 이상 항공·운송 사업에 힘을 쏟은 '항공 전문가'다. 

조양호 회장은 항공업게를 강타한 여러 고초에서 뛰어난 전략을 구사해 한진그룹을 살렸다. 

1978년부터 1980년까지 2차 오일쇼크가 터졌을 때는 연료비 부담이 컸다.

미국 최대 항공사였던 팬암과 유나이티드항공은 직원 수 1000명을 감원한 반면 조 회장은 선친인 조중훈 창업주와 함께 시설·장비 가동률을 높이는 '역발상' 전략을 구사했다. 

이때 항공기 구매도 계획에 맞춰 진행해 불황 시기를 기회로 삼아 호황을 준비했다. 

조양호 회장의 이런 결단은 오일쇼크 후 새로운 기회로 떠오른 중동 수요 확보와 노선 진출에 좋은 영향을 준 것으로 평가된다. 

조양호 회장은 방산업계에도 큰 영향을 끼쳤다. 

2004년 6월 제11대 한국방위산업진흥회 회장으로 선임된 뒤 14년간 한국방위산업의 경쟁력을 높이는 데 노력을 기울였다. 

조 회장은 한국 스포츠 발전을 이뤄온 스포츠인이기도 하다. 

2009년 평창동계올림픽 유치위원장을 맡아 평창 유치에 힘썼다. 2014년 2018 평창동계올림픽 조직위원회 위원장이라는 중책을 맡은 바 있다. 

그는 대한탁구협회장이자 아시아탁구연합 부회장도 지냈다. 대한항공에 탁구, 배구 실업팀에 이어 스피드스케이팅 실업팀을 만들었다.

조 회장은 3월27일 정기 주주총회에서 대한항공 사내 이사 연임에 실패했다. 이에 20년 만에 대표이사에서 내려오기도 했다. 

김동욱 시의원, 결혼준비대행업 관리·소비자 보호 정책토론회 성황리 개최

[영등포신문=나재희 기자] 서울시의회 김동욱 의원(국민의힘·강남5)은 20일 서울시의회 제2대회의실에서 ‘결혼준비대행업 관리 및 소비자 보호를 위한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토론회는 결혼준비대행업 시장의 불투명한 거래 구조와 소비자 피해를 줄이고, 공정하고 신뢰할 수 있는 결혼 서비스 시장을 조성하기 위한 제도적 대안을 논의하는 자리였다. 특히 김동욱 의원이 발의한 ‘서울특별시 결혼준비대행업 관리 및 소비자 보호에 관한 조례안’의 제정 필요성과 구체적 방향을 모색하며,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기 위한 의미 있는 논의가 이어졌다. 정고운 한국소비자원 시장조사국 가격조사팀장은 발제를 통해 결혼준비대행서비스의 시장구조와 소비자 피해 양상을 짚었다. 특히 패키지 계약에서 발생하는 불투명한 가격 구조와 추가비용 문제, 폐업 시 피해구제의 한계, 그리고 프리미엄화 추세로 인한 비용 상승 등을 지적하며 관리 체계 구축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아울러 표준계약서 제정과 가격정보 공개 현황을 소개하며 제도적 기반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이어진 토론에서는 다양한 전문가들이 현실적 대안을 제시했다. 박진선 (사)서울YWCA 생명운동팀 부장은 결혼준비대행업이 불투명한 가




가장많이 본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