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등포신문=신예은 기자] 무증상 및 경증 코로나19 환자가 입소하는 생활치료센터와 경증과 중증 사이(중등증) 환자를 위한 감염병전담병원 병상이 단계적으로 축소된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는 8일 중대본 회의에서 중앙사고수습본부로부터 이러한 내용의 병상 조정 계획을 보고받고 관련 내용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정부는 "오미크론 변이 특성상 대다수 확진자가 경증이고, 재택치료가 대폭 확대되면서 생활치료센터와 중등증 병상 수요가 꾸준히 감소하고 있다"며 조정 취지를 설명했다.
생활치료센터는 지난 1월 30일 기준으로 가동률이 50.9% 수준이었으나, 재택치료가 전면 확대된 지난 2월 이후부터는 20% 중반대까지 떨어졌으며, 이날 기준으로는 18.4%를 나타냈다.
감염병전담병원의 중등증 병상 가동률도 지난 2월 27일 기준 54.3%까지 올랐다가 서서히 하락세를 보이면서 이날 기준으로는 35.0%까지 내려왔다.
더욱이 최근 일반병상에서 코로나19 환자의 외래진료 및 입원치료를 받는 형태로 의료 대응체계를 전환하면서 기존 생활치료센터 및 중등증 병상 운영을 효율화하기로 했다고 정부는 설명했다.
이에 따라 전국 89개소, 1만9천703개 병상이 운영 중인 생활치료센터는 가동률 추이와 병상 현황, 입소 수요를 반영해 단계적 감축에 들어간다.
다만 코로나19 환자를 일상 의료체계에서 완전히 흡수하는 일반 의료체계로 전환되기 전까지 격리 공간 확보가 어려운 주거 취약자 등 고위험군을 위한 필수 병상은 유지한다.
정부는 일반의료체계로 전환한 후 생활치료센터의 격리·모니터링 기능이 불필요한 단계까지 들어서면 모든 생활치료센터를 닫겠다는 계획이다.
손영래 중수본 사회전략반장은 "생활치료센터를 전면 폐지하려면 일상 의료체계 전환이 전폭적으로 이뤄져야 하고, 동시에 재택치료로 관리하기 어려운 소외계층 등 특수한 환자에 대한 관리 체계도 보완해야 한다"고 설명했다.